ⓒ 어패럴뉴스 임경량기자, lkr@apparelnews.co.kr
2017년 11월 06일
토종 남성복 설 자리가 없다
백화점 해외 브랜드 비중 절반 넘어
정체된 남성복 시장에 백화점 토종 브랜드의 자리가 크게 위협 받고 있다.
유통 업계가 남성복 MD의 변화를 모색하면서 해외 산 브랜드 도입을 늘리고 있기 때문이다.
백화점 3사(롯데·현대·신세계)는 본점과 강남권 간판 점포를 중심으로 남성 의류와 잡화의 절반 이상을 해외 브랜드로 대체했다.
이들 핵심 점포에는 하이엔드 명품의 남성 단독 매장과 정장, 캐주얼 수입 매장이 급속도로 늘고 있다.
백화점 측이 가격 차가 크지 않은 해외 컨템포러리 군을 늘리면서 캐릭터가 강한 국내 트렌디 캐주얼군의 어려움이 가중되고 있다는 시각도 적지 않다.
업계 한 관계자는 “컨템포러리의 가격이 과거만큼 높지 않고 실적에 대한 압박도 적어 토종 브랜드만 홀대 받는 분위기”라고 말했다.
실제 백화점 3사 점포 중 상당수는 수년전까지 토종 캐릭터캐주얼 브랜드 수가 더 많았지만 최근 크게 달라졌다.
중견사와 남성 전문 업체들이 수시로 브랜드를 런칭, 시장을 유지해 왔지만 최근 특정 기업 중심으로 채워지고 있다.
삼성물산, LF, 코오롱FnC, 한섬을 비롯해 신성통상과 신원 등 중견사만이 기존 지위를 유지하고 있다.
여기에 상당수 업체들이 해외 라이선스 혹은 브랜드를 매입해 편집숍 형태로 선보이면서 일부는 점포수가 축소된 상태다.
백화점뿐만이 아니다. 2차, 3차 유통에서도 토종 브랜드의 입지는 점차 줄고 있다.
다 점포 아울렛의 경우 신사복과 캐릭터캐주얼이 축소되는 경향이 두드러지고 있다. 이랜드리테일도 자사 점포망에서 남성 캐릭터 브랜드 수를 크게 축소하는 대신 자체 PB를 확대하고 있다.
백화점 유통 3사가 보유한 도심 안팎의 아울렛 점포에서도 최근 프리미엄 경쟁이 치열해지면서 해외 브랜드 비중을 늘리고 있다.
남성 캐주얼 확대가 그나마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지만 이 시장 역시 삼성물산과 LF, 현대지앤에프 등 일부 대형사들이 장악하고 있어 신규 진입이 쉽지 않다는 분석이다.